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마스킹
- NoSQL
- mysql
- jdbc
- query
- INSERT
- jsp
- 정보처리산업기사
- mybatis
- JSON
- vscode tutorial
- spring
- swipe 배너
- JAXBContext
- MariaDB
- 부스트코스
- Tomcat
- JQuery
- bulkinsert
- egov
- 오라클
- vue Carousel
- Ajax
- vue.js
- java
- github
- 구멍가게코딩단
- checkbox
- insertAll
- 기출문제
- Today
- Total
개발새발
[2019.12.04] 본문
이클립스랑 오라클 연결 테스트중
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오류나서
src/main/resources 아래에 log4jdbc.log4j2.properties 파일을 만들어줬다
1
|
이렇게 그랬더니 오류가 바꼈다
//JUnit은 success했지만 console에서 오류
No suitable driver found for jdbc -> jdbc에 적합한 드라이버가 없습니다.
WEB-INF 폴더 밑에 lib폴더 만들어서 톰캣안에 있는 ojdbc6.jar추가하고
[오른쪽클릭]-[build path]-[configure build path]
모델 2 방식과 스프링 MVC
- 모델 (Model) : 데이터 혹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
- 뷰 (View) : 결과 화면을 만들어 내는 데 사용하는 자원
- 컨트롤러 (Controller) : 웹의 요청(request)을 처리하는 존재로 뷰와 모델 사이의 중간 통신 역할
모델 2 방식은
1) 개발자와 웹 퍼블리셔의 영역 분리.
2) 컨트롤러의 URI를 통해서 뷰를 제어하기 때문에, 뷰의 교체나 변경과 같은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사용.
servlet-context.xml = 스프링 MVC 관련 설정만을 분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파일.
스프링 MVC에서 주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의 종류
Model이라는 클래스를 파라미터로 사용
Model 클래스는 import 구문에서 보듯이 스프링 MVC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클래스이다.
이 클래스의 용도는 뷰에 원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일종의 컨테이너나 상자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Model에 데이터를 담을 때 addAttribute()메소드 사용
(controller생성)리다이렉트를 해야하는 경우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|
package org.zerock.web;
import org.slf4j.Logger;
import org.slf4j.LoggerFactory;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
@Controller
public class SampleController4 {
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= LoggerFactory.getLogger(SampleController2.class);
@RequestMapping("/doE")
public String doE(RedirectAttributes rttr) {
logger.info("doE called but redirect to /doF..");
rttr.addFlashAttribute("msg", "THIS IS THE MESSAGE!! WITH REDIRECTED!");
return "redirect://doF";
}
@RequestMapping("/doF")
public void doF(@ModelAttribute String msg) {
}
}
|
doE()메소드의 URI는 '/doE'로 외부에서 호출하도록 되어있다.
메소드의 파라미터 선언에 RedirecctAttributes를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점을 주목
doE() 메소드의 결과로 리다이렉트 시점에 문자열 정보를 하나 더 전달하고 싶어서
'msg'라는 이름의 데이터 추가
이때, addFlashAttribute()는 임시데이터를 전달한다.
마이바티스에서는 CDATA 구문을 많이 쓴다.
이유는 쿼리문에 문자열 비교연산자나 부등호를 처리할 때가 있기때문이다.
CDATA를 쓰지 않는다면, < 와 같은 기호를 괄호인지 아니면 비교연산자 인지 확인 되지 않는다.
이외에도 특수문자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다.
(CDATA는 태그안에서는 전부 문자열로 치환시켜벌임.)
<![CDATA[ ]]>
[참고링크] https://epthffh.tistory.com
Mybatis 에서 CDATA 사용하기
마이바티스에서는 CDATA 구문을 많이 씁니다 이유는 쿼리문에 문자열 비교연산자나 부등호를 처리할 때가있습니다 그러면 < 와 같은 기호를 괄호인지 아니면 비교연산자 인지 확인이 되지않아요 이외에도 특수문자..
epthffh.tistory.com
'[Daliy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19.12.13] (0) | 2019.12.13 |
---|---|
[2019.12.12] (0) | 2019.12.12 |
[2019.12.11] (0) | 2019.12.11 |
[2019.12.09] (0) | 2019.12.09 |
[2019.12.05] (0) | 2019.12.05 |